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Subnet
- lambda
- dns
- 도메인
- Athena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RDS
- CloudFront
- AWS
- CLI
- security group
- ALB
- EC2
- route table
- Storage
- Linux
- 윈도우
- NaCl
- S3
- Jenkins
- Dedup
- ncp
- Python
- terraform
- VPC
- 테라폼
- AD
- Windows
- FSX
- storage gateway
Archives
- Today
- Total
끄적이는 보송
리눅스 Troubleshoot 본문
반응형
환경은 AmazonLinux2, 패키지 설치 후, 서비스 시작 명령어가 당연히 돼야 하지만 아래 출력문과 함께 안됐던 상황. 이 경우, sudo 권한과 함께 실행시켜주면 된다.
Failed to start {application}.service: The name org.freedesktop.PolicyKit1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반응형
'STUDY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Telnet 포트 테스트 정상일 때 빠져나오기 (0) | 2022.09.15 |
---|---|
[Linux] Line Number와 함께 실시간 로그 조회하기 (less -N + F 명령어) (0) | 2022.08.09 |
yum history undo로 롤백하기 (0) | 2022.04.02 |
Samba를 이용한 윈도우 파일 공유 (0) | 2022.04.02 |
Linux 계정에서 암호 없이 Root 접속하기 (0) | 2022.03.1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