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도메인
- ncp
- Dedup
- 테라폼
- NaCl
- S3
- storage gateway
- Windows
- AD
- Jenkins
- Subnet
- lambda
- FSX
- ALB
- Storage
- 윈도우
- AWS
- Athena
- VPC
- dns
- CloudFront
- terraform
- EC2
- route table
- RDS
- security group
- Linux
- Python
- CLI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Today
- Total
목록route table (2)
끄적이는 보송
클라우드 사용하는 목적이 무엇이 됐건 VPC(Virtual Private Cloud)를 생성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 아닌가 싶다. VPC를 만들고자 한다면 크게 다음 4가지를 거쳐야 한다. VPC라는 가상의 데이터센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rivate IP주소를 결정해야 하고, IP 대역을 작은 단위로 Subnet을 이용해 Boundary를 만들고,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고, 길을 만들어 놨으면 목적에 맞게 방화벽 설정을 거쳐야 한다. 1. IP 주소 범위 선택 2. 가용 영역(AZ) 별 서브넷 설정 3. 인터넷으로 향하는 경로(route) 만들기 4. VPC 로부터의 트래픽 설정 1. IP주소 범위 선택 VPC를 생성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Terraform을 통해 최소한의 기능만 하는 정말 간단한 VPC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려 한다. 1. Provider 구성 먼저 사용하는 Vendor는 AWS, 지역은 서울(ap-northeast-2)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간단한 코드를 구성했다. #provider.tf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init 명령어로 Initializing 진행되며 Provider를 다운로드하였다. 다운로드하면 다음과 같이 .terraform 폴더가 생긴다. Terraform 은 내부적으로 AWS의 API를 호출하여 동작하며 그러기 위해선 Library가 필요하다. init 명령어가 그 Library도 다운로드한다. 2. VPC & Public Subnet 생성 기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