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loudFront
- terraform
- VPC
- S3
- Subnet
- ncp
- Storage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security group
- Python
- dns
- lambda
- ALB
- 테라폼
- FSX
- 도메인
- AWS
- Linux
- CLI
- 윈도우
- NaCl
- Windows
- Dedup
- Athena
- EC2
- route table
- AD
- storage gateway
- RDS
- Jenkins
- Today
- Total
목록NaCl (2)
끄적이는 보송

AWS는 기본적으로 모든 것을 Deny를 하는 정책을 가지고 있다. AWS 방화벽 기능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Network ACls (stateless firewalls), Security Groups(stateful firewalls)가 되겠다. 1. NACL (stateless firewalls) - NACL은 서브넷 단위로 적용 (서브넷 안에 EC가 100개 있으면 모두 해당 NACL의 영향을 받는다) - NACL은 여러 Subnet에 적용 가능하며 Subnet은 하나의 NACL만 적용 - VPC 하나당 최대 200개까지 생성 가능 - NACL은 Ibound Rule 20개, Outbound Rule 20개 등록 가능 - Stateless 성질로 요청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응답 트래픽 제어..

클라우드 사용하는 목적이 무엇이 됐건 VPC(Virtual Private Cloud)를 생성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 아닌가 싶다. VPC를 만들고자 한다면 크게 다음 4가지를 거쳐야 한다. VPC라는 가상의 데이터센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rivate IP주소를 결정해야 하고, IP 대역을 작은 단위로 Subnet을 이용해 Boundary를 만들고,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고, 길을 만들어 놨으면 목적에 맞게 방화벽 설정을 거쳐야 한다. 1. IP 주소 범위 선택 2. 가용 영역(AZ) 별 서브넷 설정 3. 인터넷으로 향하는 경로(route) 만들기 4. VPC 로부터의 트래픽 설정 1. IP주소 범위 선택 VPC를 생성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