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dns
- NaCl
- S3
- lambda
- Linux
- RDS
- storage gateway
- ncp
- CLI
- Athena
- Dedup
- CloudFront
- VPC
- 테라폼
- EC2
- Python
- AD
- security group
- FSX
- Jenkins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Windows
- 윈도우
- terraform
- Subnet
- ALB
- route table
- AWS
- 도메인
- Storage
Archives
- Today
- Total
끄적이는 보송
[AWS] CLI 환경에서 AWS S3 생성, 업로드, 다운로드 하기 본문
반응형
Terraform을 이용해 AWS의 대표 저장소인 S3를 생성하고 CLI 환경에서 간단한 동작을 해보려 한다. 물론 이 모든 건 AWS configure 자격 증명이 되어있어야 한다.
1. 우선 S3 생성을 위한 테라폼 파일을 생성한다. 물론 S3 버킷의 이름은 고유해야 한다.

#provider.tf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s3.tf
resource "aws_s3_bucket" "s3" {
bucket = "boesterraformbucket"
}
2. Terraform init > Terraform plan > 콘솔에서 버킷 생성 확인



3. S3에 파일 업로드
더미 파일을 만들어 S3에 파일 업로드를 한다. S3 관련 CLI 명령어는 공식 사이트를 참조하면 많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cli/latest/userguide/cli-services-s3-commands.html#using-s3-commands-managing-objects-copy

$aws s3 cp <file> <s3_bucket>

4. 경로를 지정해서 S3 파일 업로드 하기
또 다른 더미 파일을 생성해 이번에는 경로를 지정해 파일을 업로드했다. S3 버킷 안에 존재하지 않는 경로여도 일단 버킷 이름만 맞다면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aws s3 cp <file> <s3_bucket/path>


5. S3 버킷에 있는 파일 다운로드하기
이번에는 반대로 S3 버킷에 올린 파일을 다운로드하여보았다.
$aws s3 cp <s3_bucket/file/> <your_local_path>

반응형
'STUDY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CloudShell (0) | 2022.02.19 |
---|---|
[AWS] 자격 증명 없이 EC2에서 S3 액세스 (0) | 2022.02.18 |
[AWS] AWS Configure 구성 (0) | 2021.07.04 |
[AWS] AWS Free Tier 만료일 확인하기 (0) | 2021.07.04 |
[AWS] AWS CLI 및 AWS Configure 설치 구성 (0) | 2021.07.0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