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윈도우
- CLI
- AWS
- S3
- storage gateway
- AD
- CloudFront
- security group
- FSX
- Windows
- VPC
- Linux
- EC2
- ncp
- RDS
- Dedup
- Python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dns
- 테라폼
- Jenkins
- Athena
- 도메인
- Subnet
- lambda
- route table
- ALB
- terraform
- NaCl
- Storag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F (1)
끄적이는 보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vy2L/btrZKw6KnwT/oIMg0AhAsxNwvjuiL2Hn5k/img.png)
EC2 Instance의 Volume을 조사하던 중, df 명령어와 du 명령어의 결과 값이 다르게 출력된 적이 있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며 어떻게 조치해야 하는지 관련해 포스팅을 남긴다. df 및 du 값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는 이유 두 명령어에 서로 다른 값을 반환하는 것은 명령어에 분명한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df 명령어: 파일시스템의 디스크 블록들을 조회하여 총 값(버퍼 및 캐시 등을 포함) 및 자유블록의 수를 산출하는 방식. 리눅스 시스템 전체의(마운트 된) 디스크 사용량 확인 가능. du 명령어: 파일 트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stat()라는 시스템 호출을 이용하여 얻은 각각의 디렉터리, 씸볼릭 링크 및 파일에 할당된 블록 수를 더해 계산하는 방식. 특정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디스..
STUDY/Linux
2023. 2. 18. 1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