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C2
- Linux
- Dedup
- Windows
- ncp
- storage gateway
- CloudFront
- Athena
- Jenkins
- 윈도우
- dns
- 도메인
- CLI
- AD
- Storage
- FSX
- RDS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Subnet
- S3
- terraform
- ALB
- AWS
- 테라폼
- NaCl
- VPC
- security group
- route table
- lambda
- Python
- Today
- Total
목록STUDY/AWS (58)
끄적이는 보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PzK0/btrVh65zYNu/B32AIvWMmb5ntz0JXXA0kk/img.png)
문제 발생 Private Subnet에 위치한 Amazon Linux 2 EC2 Instnace가 패키지를 아래 에러 메시지를 뱉으며 다운로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외부로 핑은 나가는데 패키지 다운로드할 때 미러사이트를 찾지 못해 설치가 안된다는 것이다. Private EC2 Instance는 당연하게도 NAT GW를 통해 인터넷 통신을 하고 있는 환경이다. Could not retrieve mirrorlist http://repo.ap-northeast-2.amazonaws.com/.../mirror.list error was 이를 해결해 보려, VPC Outbound 설정에 막힌 것은 아닌지, Security Group, NACL, DHCP 옵션 셋, VPC 필요 옵션 활성화, Route 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Oi4b/btrUBbz0oMb/HrM5wSyZ26nYn61XK3iqq1/img.png)
Cloud9 연결 문제 발생 Cloud9을 생성하는데 연결이 안 되는 이슈가 있었다. 분명 Created는 된 상태인데 이상하게 Connection이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Cloud9의 상태는 계속 'Connecting'에 머물러 있었다. 문제 원인 및 해결 This is taking longer than expected. The delay may be caused by high CPU usage in your environment, your T2 or T3 instance might be running out of burstable CPU capacity credits, or there are VPC configuration issues. Please check the VPC settings or 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iUUt/btrSF5PBqZD/xKW5Me5djui0TbSer4X5aK/img.png)
문제 발생 및 환경 Amazon FSx for Windows File Server 서비스를 AWS Backup 서비스로 주기적인 백업을 설정하였지만 FSx 백업에 실패한 케이스가 있었다. 그 원인을 찾아보니 백업 시간과 Maintenance Windows(유지보수) 시간이 겹쳐 발생한 것이었다. FSx 백업은 유지보수 작업 시작 4시간 전부터 시작할 수 없다고 한다. 이 부분은 FSx만 국한된 것이 아니면 다른 서비스에도 제약사항이 있다. 더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https://docs.aws.amazon.com/aws-backup/latest/devguide/troubleshooting.html 해결 방안 이용자가 없을 때를 고려해 주말 새벽 시간에 백업과 유지보수 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qZZU/btrR2R4MsyR/S3XswVWmFaFKMrVErW7zyk/img.png)
Amazon RI(Reserved Instance)란? Amazon Reserved Instance(이하 RI)는 예약 인스턴스라고도 불리며 Instance 사용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할인 서비스이다. 쉽게 말해 미리미리 얼마큼 Instance를 쓰겠다고 선언을 하면 더 싸게 과금이 청구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한 번 해보자. Amazon RI(Reserved Instance) 구입해보기 AWS EC2 콘손 환경의 좌측 패널을 보면 'Reserved Instance'라고 있다. 거길 클릭해 접근하면 RI를 구매할 수 있다. 우선 RI 구매 창은 아래와 같이 생겼다. 각각의 선택지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 Platform: OS(플랫폼) 선택 - Tenancy: 기본 EC2 Instance(공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tu3i/btrVtTkrVI6/9FKGsE8XuaYHjdgvxNF8ck/img.png)
하나의 EC2 Instance에 다수의 EBS Volume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어떤 EBS Volume이 OS 어디에 마운트 되어 있는 Volume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아래는 AWS Managed Console 환경에서 확인되는 EBS Volume 들이다. 실제로 OS에 접속해보면 이것만 보아서는 어느 Volume이 어떤 것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때 'lsblk -o +SERIAL' 명령어를 이용하면 OS에 부착된 각각의 EBS Volume의 ID를 출력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5세대만 지원한다. 4세대의 경우 다르게 확인할 수 있다. OS에 접속하여 'dev' 폴더에 접근하면 AWS Managed Console 환경에서 출력되는 EBS Volume의 Device 이름으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SQ0p/btrRGlysiBD/J0WK0I45fpbKVXTclxoIG0/img.jpg)
디스크 사이즈는 나날이 커져가고 있으며 그만큼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결국엔 더 큰 디스크를 사용하더라도 같은 디스크에 잠재적으로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렇게 해서 나온 두 가지 방안이 "압축"과 "중복제거"이다. AWS에서는 Amazon FSx for Windows File Server라는 서비스에서 이 "중복제거"라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중복제거는 AWS의 기능이 아닌 Microsoft 사의 기능이다. AWS에서 Microsoft의 기능을 이용했다고 이해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M사의 중복제거 기능을 오롯이 전부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세한 건 밑에서 다루겠다. 중복 제거란 Data Deduplicaiton이 무엇인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kx51/btrPoR8vt0n/reKdHK1INkxHnGmLRgMQ01/img.jpg)
Amazon FSx for Window File Server 서비스는 Audit이라는 감사 로그를 활성화할 수 있다. 감사 추적이라고도 하는 이 서비스는 이벤트 및 변경 사항을 기록 로그이며, 이름에도 알 수 있듯이 나중에 감사에도 쓰일 수 있다. 아무튼 이 Audit Log는 FSx 서비스를 생성할 때, 혹은 생성한 이후에 'FSx 콘솔 환경 > Administration > Manage' 경로로 접근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Audit Log를 활성화한다는 것은 발생하는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싶다는 것인데 단순 클라우드 환경에서 Audit Log 활성화로는 모든 Audit Log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위 단계까지만 한다면 Event ID 5140만 발생하게 된다. 즉, FSx Volume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5WCx/btrODOjx7xS/g8k8Ik40Mt2HgOVf1lqkO0/img.png)
On-Premise의 Windows 7 OS에서 Storage Gateway 서비스에 로그인 창만 열리고 더 이상 마운트 되지 않는 일이 있었다. 오늘은 이것을 해결하는 내용의 포스팅을 다룰까 한다. 문제 발생 및 원인 Connection 문제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라우팅 문제일 수도, 방화벽 문제일 수도, 호환성 문제일 수도... 다양하다. 나의 경우, Storage Gateway의 네트워크 경로까지 접근 자체는 가능하나 '로그인'창만 팝업 되고 로그인은 되지 않는 문제였다. 알고 보니 이는 SMB Protocol 버전 관련 이슈였다. AWS Storage gateway 자체는 Windows10, 8, 7에서의 연결을 모두 지원하고 있지만, Windows 7에서는 SMB 2.1 버전까지 만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