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ambda
- AD
- security group
- route table
- Subnet
- NaCl
- Storage
- 윈도우
- AWS
- VPC
- 테라폼
- 도메인
- ALB
- terraform
- Athena
- ncp
- dns
- CloudFront
- Jenkins
- Dedup
- CLI
- Linux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Python
- Windows
- storage gateway
- EC2
- RDS
- S3
- FSX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00)
끄적이는 보송

Tableau란 Tableau란 데이터 분석 및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에 사용되는 데이터 시각화 도구라고 한다. 대시보드 형태로 데이터를 그래픽을 생성해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해준다고 한다. 비 전문가로서 간단하게 만져만 봤는데, DB + 엑셀 + 이쁘게 출력되는 다양한 그래프 등의 짬뽕 조합으로 괜찮아 보이는 느낌을 받았다. 준비물 기본적인 AWS 클라우드 환경 구성 Tableau 설치를 위한 EC2 및 볼륨 - Server Type: m5.4xlarge - Voluem: 100 GiB 최소 사양은 Tableau 공식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help.tableau.com/current/server/ko-kr/ts_aws_virtual_machine_selection.htm AW..

nslookup 이란 DNS record를 조회할 수 있는 커맨드 라인 명령어이며 여러 OS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유틸리티다. 업무에 자주 쓰이는 녀석이라 정리해본다. nslookup 명령어 기본 포맷 $ nslookup > server ('dns ip') // 인자 값을 넣어 dns 지정할 수 있다. 지정하지 않으면 로컬에 설정된 기본값을 따른다 > set type=('type') // 어떻게 물어볼지에 대한 타입 입력 > www.server.com // 무엇을 물어볼지에 대한 도메인 입력 nslookup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prompt를 받게 되어있어 위처럼 꺾쇠가 있다. nslookup RR(Resource Record) type 종류 A > IP 주소를 알고 싶을 때 PRT > 특정 IP주소..

루트볼륨(C 드라이브) 용량을 증설하는 김에 간단하게 기록해본다. 환경은 AWS EC2 Instance의 EBS Volume 증설이며, OS는 windows server 2012. EBS Volume은 EC2 인스턴스가 구동 중이어도 증설이 가능하다. 적용되는데 시간은 증설하는 용량에 따라 다르다. 용량 증설이 완료됐다면 서버에 접속해보자. 볼륨이 추가 증설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 20GB 용량을 합해보자. 1. Server Manger > Tools > Computer Management 2. Disk Management > 용량 상태 확인 3. 현재 사용 중인 볼륨 마우스 우클릭 > Extend Volume > 다음 > 다음 > 다음 4. 용량이 성공적으로 증설되었다. 내 컴퓨터 화면에서도..

Amazon Workspaces란 AWS DaaS(Desktop as a Service) 서비스이다. 혹은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VDI)라고 생각해도 좋다. WorkSpaces는 EC2 기반의 서비스지만 청구방식이 약간 다르다. 자세한 건 밑의 AWS 공식 도큐먼트 링크를 통해 Workspaces가 지원하는 Region, OS 및 가격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aws.amazon.com/ko/workspaces/pricing/ 클라우드 네이티브 영구 데스크톱 가상화 - Amazon WorkSpaces 요금 – Amazon Web Services 각 Windows 번들 옵션에는 WorkSpace당 Microsoft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RDS) 구독자 액세스 라이선스(SAL)가 포함됨 aws...

AWS CloudFront 란 AWS CloudFront는 AWS의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다. CDN 서비스란 Client의 콘텐츠 요청으로 서버에서 받아온 콘텐츠를 캐싱하고 이후 같은 요청이 왔을 때, 그 캐싱해 둔 것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렇게 함으로써 물리적으로 거리가 먼 곳에도 빠르게 요청을 처리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서버의 부하를 낮출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자. Edge Location(Pop) / Regional Edge Caceh(REC) CloudFront에는 Edge Location이라는 개념이 있다. Edge Location은 CloudFront 서비스가 콘텐츠를 캐싱하고 Client에게 제공하는 지점 혹은 캐시 서버를..

Linux에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고 그 계정에서 암호 없이 Root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볼 것이다. 별다른 작업을 안 해주면 보통 밑의 화면이 출력된다. 실습 1. 실습 환경은 Amazon Linux2의 EC2이다. 우선 서버 접속해 신규 유저 및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2. /etc/sudoers.d/cloud-init 경로 접근 3. [new user name] ALL=(ALL) NOPASSWD:ALL 입력 4. 접속 확인. 잘된다.

일반적으로 AWS 사용하지 않는 기업(고객)이 제일 첫 번째로 도입을 고려하는 것이 백업이다. 기존의 데이터는 그대로고 새로운 데이터를 넣는 것이기 때문에 시험 삼아 부담 없이 도입하는 게 아닌가 싶다. 오늘은 백업 솔루션 중 하나인 AWS Storage Gateway를 다뤄보려고 한다. AWS Storage Gateway란 Storage Gateway란 AWS 스토리지를 On-Premise와 연결하여 마치 NAS처럼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보면 된다. Storage Gateway에는 크게 다음 3종류로 구분된다. 1. File Gateway (NFS, SMB) - NFS: Network File System - SMB: System Message Blcok 2. Volume Gateway (iSCSI) -..

Pre-Signed URL (미리 서명된 url) 이란? 디폴트로 S3의 객체는 비공개이며 소유자만이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필요할 경우 소유자의 보안 자격 증명을 사용해 일정기간 동안 효력이 있는 URL을 생성할 수 있다. 이 URL을 미리 서명된 URL (pre-signed url)이며 이를 통해 다른 사용자는 임시적으로 해당 객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pre-signed url은 이를 생성한 사용자의 권한에 의해 일부 제한된다고 하니 다음 링크를 참조해보자.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userguide/using-presigned-url.html#who-presigned-url 미리 서명된 URL 사용 - Amazon Sim..